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 재발급 유효기간 | 발급 병원 찾기

보건증은 건강진단 결과를 증명하는 서류로 식품위생업이나 공중위생업 종사자들이 의무적으로 발급받아야 하는 증명서입니다. 주로 식당, 카페, 미용실, 숙박업소에서 일하려는 분들에게 요구되는 서류인데 이 글에서는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과 재발급 방법,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 발급 병원 찾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발급 절차

  1. 보건소 방문: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하여 건강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보건소에서는 예약 없이 방문이 가능하지만 일부 보건소나 병원은 사전 예약이 필요할 수 있으니 방문 전에 미리 연락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건강진단 항목은 결핵, 장티푸스, 파라티푸스입니다.
  2. 보건증 발급: 건강진단을 받은 후 3~10일 안에 검사 받았던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하면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보건소, 병원을 방문해서 검사결과를 받지만 인터넷에서 발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3. 인터넷 발급 신청:
    • 공공보건포털 사이트 접속: G-health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회원가입 및 로그인: 회원가입을 하셔야 보건증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미 회원이라면 로그인합니다.
    • 건강진단서 조회 및 발급 신청: ‘건강진단서 발급’ 메뉴에서 건강진단 결과를 조회하고 발급 신청을 합니다.
    • 수수료 납부: 발급 수수료를 온라인으로 납부합니다. 수수료는 보통 3,000원 정도이며 알려드린 모든 과정을 끝내셨다면 보건증 인터넷 발급이 완료됩니다.

보건증 발급 시 주의사항

  • 신분증 지참: 보건소 방문 시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은 발급일로부터 1년간 유효하며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재발급 방법

재발급 절차

보건증 재발급은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보건증만 가능합니다. 재발급 방법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과 똑같습니다.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는 인터넷으로 몇 번이던지 재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병원 찾기

보건소 및 병원 찾기

보건증-인터넷-발급-방법-보건소-찾기

건강진단을 받기 위해선 병원, 보건소를 방문해야 하는데 건강진단은 전국의 보건소 및 지정 병원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병원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health 사이트 이용: G-health 사이트에서 ‘보건소 찾기’ 메뉴를 이용하여 가까운 보건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2. 지역 보건소 문의: 방문할 예정인 보건소에 전화 문의하여 건강진단 및 보건증 발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네이버 지도 및 카카오맵 활용: ‘보건소’, ‘건강진단 병원’ 등으로 검색해서 나온 의료기관에 연락을 하신 뒤 방문하시면 됩니다.

네이버 지도 바로가기

FAQ

1.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보건소나 병원에서 건강진단을 받은 후 공공보건포털 G-health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및 로그인 후 건강진단 결과를 조회하고 발급하면 됩니다.

2.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건강진단서 발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건강진단을 받고 보건증을 갱신해야 합니다.

3. 보건증 재발급은 어떻게 하나요?

보건증 재발급은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보건증만 가능합니다. G-health 사이트를 통해 발급 신청을 하면 보건증을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4. 보건증 발급 가능한 병원은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보건증 발급 가능한 병원은 G-health 사이트에서 ‘보건소 찾기’ 메뉴를 이용하거나, 네이버 지도 및 카카오맵에서 ‘보건소’, ‘건강진단 병원’ 등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5. 보건소 방문 시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하나요?

보건소 방문 시에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건강진단을 받을 때 필요한 기타 서류는 보건소에서 안내해 줍니다.


다른 유용한 정보

📌 짱구 팝업 스토어 2024 일정 및 예약 방법 | 서울 전주 대구 부산

📌 “이걸 이렇게 사용한다고?” 집에 쌓여있는 아이스팩 200% 활용하는 꿀팁

📌 “남편은 된밥, 아이들은 진밥… 한 번에 만들 수 있습니다” 밥 솥 하나로 2종류 밥 만드는 방법